아카데미느티나무 관련 노션 페이지입니다
앎의 즐거움, 모든 변화의 첫걸음입니다
진보·인문·행복 시민 배움터
•
1996년 9월. 참여사회아카데미 출범
•
2003년. 활동 중단
•
2009년 2월. (가칭)시민교육센터 출범 후 ‘아카데미느티나무’로 명칭 확정
시민운동과 시민사회에 대한 교육이 거의 없던 시절, 1996년 부설 시민교육기관 <참여사회아카데미>가 출범했습니다. 2003년, 수강생 감소로 잠시 활동을 중단했다가 2009년 3월, <아카데미느티나무>라는 이름으로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아카데미느티나무는 개인과 사회 문제 해결의 힘을 키우려는 시민들이 즐겁게 만나고 서로를 환대하는 배움의 공간으로서, ’문제의 원인을 구조적으로 사고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지성’, ‘자신이 처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공공의 힘’, ‘인문학적 감성’, ‘예술적 감수성’을 키우는 과정을 통해 지성·감성·영성이 통합된 삶과 배움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아카데미느티나무에서 진행 중인 강좌는 민주주의 강좌에서 인문, 철학, 생활문화, 시민예술 등의 영역으로 대폭 확대되었고, 참가자가 직접 기획, 운영, 참여하는 참가자 기획 프로그램도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참여연대 공간을 거점으로 다양한 소모임이 자발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주요 의제별 활동
민주주의, 인문, 시민예술, 자아탐색, 독서클럽 등 다양한 강좌
삶의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하는 시민교육을 목표로 ▲민주주의학교, ▲인문학교, ▲시민예술학교, ▲자아탐색, ▲독서클럽 등 다양한 영역의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그 중 행동하는 시민을 위한 민주주의학교의 강좌 비중이 35%로 가장 높다. 시민예술학교 또한 수업의 내용과 형식면에서 민주주의와 사회참여의 가치를 녹여 기획함으로써 다른 교육기관의 예술교육과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강좌와 프로그램을 강사, 활동가, 참가자가 함께 만들어간다는 생각으로 열성 참가자들과 느티나무지기 모임을 이어가며 강의 기획, 진행, 평가 과정에서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주요 활동]
•
시민교육을 기획하는 활동가, 시민을 위한 커리큘럼 ‘시민교육기획자학교’(2024)
•
변화와 평등한 소통 권력을 위한 ‘톡톡! 철학과 함께 하는 민주적 진행자 워크숍’ (2013~2021)
•
참여하고 저항하는 시민의 행동력 프로젝트 ‘좋은 삶, 유쾌한 변화, 와하(Why&How)학교’(2017~2019)
•
변화를 원한다면 사람들이 참여하고 싶은 모임을 만들라, ‘독서모임 진행자 되기 과정’ (2019~2023)
•
내 안에서 타인을 보고, 타인에게서 나를 발견하는 ‘시민칼럼니스트되기’(2018~2022)
•
아카데미느티나무 참여자가 중심이 되는 ‘느티나무지기 모임’ 결성(2011~현재)
•
수강자들의 배움과 삶을 인터뷰한 ‘느티나무백인보’ 연재(2010~2013)
활동가 역량 강화 및 참여연대 의제별 연계 강좌
아카데미느티나무는 참여연대 활동에 대한 이해와 동의기반을 넓히고자 권력감시, 사회경제, 평화국제 분야의 주요 활동 의제에 대한 입장과 정책, 활동방식 등을 교육하는 ‘민주주의학교’를 열고 시리즈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 활동가와 시민운동에 관심있는 시민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고 성황리에 진행 중인 <활동가를 위한 애드보커시 학교>는 운동의 전략, 방법론 등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커리큘럼으로 자리잡았다. 이외에도 다양한 의제와 연계한 특강도 열고있다.
[주요 활동]
•
국가재정은 시민의 것! <나라 예산 감시학교>(2019~현재)
•
내 생애 첫 사법감시 <판결문 함께 읽기>(2018~현재)
•
행동하는 시민과 활동가를 위한 <애드보커시 학교>(2014~현재)
•
알쓸신집 - 알수록 쓸모있는 신기한 집 이야기(2018)
•
국회를 흔들어라 선거를 흔들어라 - 공익로비의 원칙과 기법 <공익로비학교>(2015)
•
새롭게 그리다, 한반도 동아시아 평화에 대한 상상 <평화교육 디자이너 과정>(2015)
소모임, 참가자 기획 프로그램 지원
강좌 사업이 안정화되면서 수강생들이 개별 강좌에서 형성된 유대감을 바탕으로 배움의 경험을 더 깊이 나눌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강좌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후속모임은 소모임 개설로 이어졌고, 다양한 주제와 방식의 소모임이 만들어져 현재는 7개의 소모임이 운영되고 있다. 2011년 봄학기부터 강좌 참여자들과 종강파티를 함께 기획하고, 소모임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의 한 꼭지를 채우는 등 다채로운 참여 활동도 일어나고 있다.
[주요 활동]
•
사람 냄새가 나는 사람들의 모임 - ‘와-인 독서서클’(2018~현재)
•
손작업과 책읽기를 연결한 삶의 서사 나누기 - ‘감우산방 친구들’(2018~현재)
•
새로운 노년을 위한 배움의 공동체 - ‘노년배움서클’(2017~현재)
•
내안의 순수한 아이를 만나는 즐거운 놀이 - ‘느티나무 시민연극단’ 결성(2015~현재)
•
춤출 수 없다면 혁명이 아니다 - ‘도시의 노마드’ 결성(2014~현재)
•
시민, 잊혀진 역사를 기억하다 - 역사답사모임 ‘굴렁쇠’ 결성(2013~현재)
•
함께 그림을 그리면 삶이 즐겁다 - 드로잉 소모임 ‘그림者' 결성(2012~현재)
시민의 놀이터 프로젝트
2014년 참여연대 창립 20주년의 과제로, 시민들에게 보다 가깝고 개방된 참여연대가 되고자 ‘시민의 놀이터’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공간 개선 사업을 통해 느티나무홀(지하)은 춤출 수 있는 마루바닥과 전시가 가능한 갤러리 공간으로, 아름드리홀(2층)은 교육과 행사 등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새단장을 했고, 다양한 교육과 행사, 전시를 기획, 유치하고 있다.
[주요 활동]
•
지하 느티나무홀 강화마루 공사 등 공간 개선(2021)
•
참여연대 20주년 기념 ‘시민의 놀이터’를 위한 공간 리모델링(2014)
함께 일하는 사람들 (2025.4. 기준)
원장 : 황미정
간사 : 민선영, 최인숙
연락처 : 02-723-0580
이메일 : people@pspd.org